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새정부출범, 저축은행들의 봄날은 가는가?
    머니데이트 경제 2017. 5. 28. 10:00

    [ 최고금리 인하와 중금리대출상품의 경쟁심화 ]







    새정부가 들어선지 얼마되지는 않았지만


    정부정책과 민감한 금융업계에서는 


    갖가지 예측과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년도 법정최고금리인하에 이어


    이번 정부에서도 추가 인하의 가능성이 언급되어


    불거지는 가운데 저축은행들의 고금리 행진은


    더이상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가 많습니다.












    과거 최고이자율이 34.9% 아니 그이상일


    때에는 저축은행들은 대부업체와 맞먹는


    금리로 호재?아닌 호재를 만끽하고 


    있었는데요, 최근에는 7%의 법정금리인하


    직격탄을 맞아 대부업체에 소비자들을 


    양보해야 하는 경우도 생겼으며


    활로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중금리여신상품의 경쟁은 가히 치열해졌습니다.







    그에 더불에 p2p금융시장의 출현과


    사잇돌과 같은 정부지원상품의 추가는


    금융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호재이지만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업을 주업으로 하는


    금융회사 들에게는 크게 달갑지만은


    않은 정책이었음에는 분명합니다.

















    반대로 이야기 하면 상대적인


    약자인 소비자들과 국민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많은데요, 이러한 10%전후의 상대적인


    저리상품의 출시와 경쟁심화는 높았던 


    심사의 문턱을 낮춰주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허나, 무분별한 승인은 채권의


    연체로 이어지고 이러한 금융회사의


    악재는 다시 부메랑처럼 돌아와


    여신금융시장의 생태계 및 승인률들을


    경색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례할 수도


    있음을 필자는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정부의 의지와 맞물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줄이기에 더욱 힘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연체기간별 건전성 판단기준'관련


    감독규정을 변경하는 등 세부적으로 감독에 


    나섯습니다.












    이러한 배경때문에 중금리상품의


    개발에 여력이 없는 저축은행들이 많지만,


    인터넷전용은행과 비대면채널로 이동하는


    1금융권 선순위 금융사들이 많아


    그 또한 만만해 보이지 않아 저축은행수난시대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그 누구도 원래의


    대출금리가 다시 올라가는 것은 달갑지 않을 것이기에


    지지층을 잃는 행동은 새정부가 쉽사리 하지 않겠습니다만,


    큰 틀에서 보았을 때 어느정도 적응기를 두면서 


    격변기를 피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면 


    국민을 위하고 더이상의 경제침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할 것 입니다.







    과거로 부터,  선진국으로 부터 


    교훈을 얻어 시행착오를 겪지 않았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입니다. 





    댓글

Designed by black7375.